2017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7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은 중국 난징에서 개최된 대회이다. 2015년 대회 상위 3개국인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과 개최국 중국이 본선에 직행했으며, 예선을 통해 오스트레일리아, 우즈베키스탄, 태국, 베트남이 진출했다. 일본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꺾고 우승했으며, 중국은 3위를 차지하여 2018년 FIFA U-20 여자 월드컵에 참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7년 여자 축구 - UEFA 여자 유로 2017
UEFA 여자 유로 2017은 네덜란드에서 개최된 유럽 축구 연맹 주관의 여자 축구 국가대항전으로, 네덜란드가 덴마크를 꺾고 우승했으며 스코틀랜드, 벨기에, 오스트리아, 스위스, 포르투갈이 처음으로 참가했다. - 2017년 여자 축구 -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는 동아시아 축구 연맹 소속 국가들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참가하는 국제 축구 대회로, 2017년 12월 8일부터 12월 15일까지 일본에서 개최되어 대한민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이 참가한 결승 라운드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우승했다. - 2017년 청소년 축구 - 2017년 FIFA U-20 월드컵
2017년 FIFA U-20 월드컵은 대한민국에서 24개국이 참가하여 열린 국제 청소년 축구 대회로, 잉글랜드의 우승, 도미닉 솔란케의 최우수 선수 선정, 리카르도 오르솔리니의 득점왕 선정, 그리고 비디오 판독 심판 제도 도입이 특징이다. - 2017년 청소년 축구 - 2017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
2017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는 폴란드에서 12개국이 참가하여 진행되었으며, 독일이 스페인을 꺾고 우승, 다니 세바요스가 MVP, 사울 니게스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AFC U-20 여자 아시안컵 - 2015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
2015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은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으로 중국 난징에서 개최된 19세 이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간 국제 대회이며,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이 상위 3위를 차지하여 2016년 FIFA U-20 여자 월드컵 출전 자격을 얻었다. - AFC U-20 여자 아시안컵 - 2009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
2009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은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으로 중국과 말레이시아에서 개최되어 일본이 우승, 대한민국이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상위 3개 팀은 2010년 FIFA U-20 여자 월드컵 출전 자격을 얻었다.
2017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AFC U-19 여자 챔피언십 |
다른 명칭 | 2017 아시아 축구 연맹 U-19 여자 챔피언십 2017년 아시아 축구 연맹 U-19 여자 챔피언십 2017亚足联U19女子锦标赛 |
개최국 | 중국 |
개최 기간 | 2017년 10월 15일 – 2017년 10월 28일 |
참가 팀 수 | 8 |
연맹 수 | 1 |
경기장 수 | 2 |
도시 수 | 1 |
결과 | |
우승 팀 | (5번째 우승) |
통계 | |
경기 수 | 16 |
총 득점 수 | 63 |
총 관중 수 | 6713 |
최다 득점 선수 | 승향심 (6골) |
최우수 선수 | 승향심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2015 |
다음 대회 | 2019 |
2. 개최 도시 및 경기장
이번 대회는 난징에 위치한 장닝 스포츠 센터와 장쑤 축구 훈련 센터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2017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 예선 조 추첨은 2016년 5월 19일에 열렸다.[4] 2015년 대회 성적에 따라 4개 팀이 본선에 직행했고, 나머지 참가팀들은 남은 4장의 본선 진출권을 놓고 예선에서 경쟁하였다. 예선은 2016년 10월 27일부터 11월 6일까지 진행되었으며, 푸미폰 아둔야뎃 국왕의 서거로 인해 C조 경기는 2016년 12월 20일부터 24일까지로 연기되었다.[5]
3. 예선
3. 1. 본선 직행 팀
다음 4개국이 본선에 직행했다.[6]3. 2. 예선 통과 팀
2015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에서 상위 4개 팀은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예선을 통해 다음 4개 팀이 추가로 본선에 진출했다.
팀 | 자격 | 참가 횟수 | 최고 성적 |
---|---|---|---|
일본 | 2015년 대회 우승 | 9회 | 우승 (2002년, 2009년, 2011년, 2015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015년 대회 준우승 | 9회 | 우승 (2007년) |
대한민국 | 2015년 대회 3위 | 9회 | 우승 (2004년, 2013년) |
중국 | 2015년 대회 4위 / 개최국 | 9회 | 우승 (2006년) |
오스트레일리아 | A조 우승팀 | 7회 | 3위 (2006년) |
우즈베키스탄 | B조 우승팀 | 4회 | 조별 리그 (2002년, 2004년, 2015년) |
태국 | C조 우승팀 | 6회 | 4위 (2004년) |
베트남 | D조 우승팀 | 4회 | 8강 (2004년) |
4. 시드 배정
2017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 본선 조 추첨은 2017년 4월 28일에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진행되었다. 대회에 참가한 팀들은 2015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 본선과 예선 성적을 기준으로 하여 시드를 배정받았다. 개최국인 중국은 자동으로 A1에 배정되었다.[7][8][9]
포트 1 | 포트 2 | 포트 3 | 포트 4 |
---|---|---|---|
5. 조별 리그
2017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 조별 리그는 A조와 B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조의 상위 2개 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 | 3 | 0 | 0 | 13 | 0 | +13 | 9 |
중국 | 3 | 2 | 0 | 1 | 4 | 2 | +2 | 6 |
우즈베키스탄 | 3 | 0 | 1 | 2 | 2 | 6 | −4 | 1 |
태국 | 3 | 0 | 1 | 2 | 2 | 13 | −11 | 1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일본 | 3 | 3 | 0 | 0 | 15 | 1 | +14 | 9 |
오스트레일리아 | 3 | 2 | 0 | 1 | 8 | 7 | +1 | 6 |
대한민국 | 3 | 1 | 0 | 2 | 5 | 4 | +1 | 3 |
베트남 | 3 | 0 | 0 | 3 | 2 | 18 | -16 | 0 |
A조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국이, B조에서는 일본과 오스트레일리아가 각각 준결승에 진출했다.
각 조의 순위는 승점(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에 따라 결정되었으며, 승점이 같을 경우 다음 순위 결정 기준을 따랐다.[10]
# 동률 팀 간의 승자승 승점
# 동률 팀 간의 승자승 골득실
# 동률 팀 간의 승자승 득점
# 3개 이상의 팀이 동률이고, 위의 모든 승자승 기준을 적용한 후에도 일부 팀이 동률인 경우, 위의 모든 승자승 기준을 이 동률 팀의 하위 집합에만 다시 적용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골득실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득점
# 2개 팀만 동률이고 조별 리그 마지막 라운드에서 만났을 경우의 승부차기
# 페어플레이 점수 (경고 = 1점, 경고 누적으로 인한 퇴장 = 3점, 직접 퇴장 = 3점, 경고 후 직접 퇴장 = 4점)
# 추첨
모든 경기는 현지 시간(UTC+8:00)을 기준으로 진행되었다. 조 추첨은 2017년 4월 28일에 진행되었다.[17]
5. 1. A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 | 3 | 0 | 0 | 13 | 0 | +13 | 9 |
중국 | 3 | 2 | 0 | 1 | 4 | 2 | +2 | 6 |
우즈베키스탄 | 3 | 0 | 1 | 2 | 2 | 6 | -4 | 1 |
태국 | 3 | 0 | 1 | 2 | 2 | 13 | -11 | 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국이 각각 1, 2위를 차지하며 준결승에 진출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조별 리그에서 3전 전승을 거두며 압도적인 경기력을 선보였다. 특히, 승향심 선수는 뛰어난 득점력을 과시하며 팀 공격을 이끌었다.
- 같은 날, 중국은 우즈베키스탄과의 첫 경기에서 천위안멍과 류징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었다.[5]
- 2017년 10월 18일, 중국은 태국과의 경기에서 상대 자책골과 류징의 골을 묶어 2-0 승리를 거두었다.[6]
5. 2. B조
미야가와 아사토 , 하야시 호노카 , 미야자와 히나타 , 다카라다 사오리응우옌티뚜옛응언 , 하티냐이